JavaScript
-
JavaScript 화살표 함수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30. 07:35
화살표 함수는 일반적으로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만드는 방식인 함수 표현식보다 간결하게 함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const func1 = () => 실행문; 매개 변수가 없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어떠한 인자도 넣지 않으며 괄호를 생략할 수 는 없다. // 매개변수가 있는 경우 const func2 = x => 실행문; const func3 = (x, y) => 실행문; 매개변수가 한개만 있다면 괄호를 생략하여 표기할 수 있고 두개 이상부터는 괄호를 생략하지 못한다. // 리턴값이 있는 함수 const func4 = (x, y) => { 실행문1; 실행문2; ... return 값; } 실행문이 여러줄인 경우에는 실행문들을 중괄호로 감싸주어 표기하며 실행 결과..
-
JavaScript 함수(Method)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9. 07:42
함수는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릭적인 블록을 의미한다. 필요할때 마다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를 재활용에 용이하다. 함수는 먼저 선언하고 그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선언하는 방법으로는 함수 선언식과 함수 표현식이다. // 함수 선언식 function 함수명(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return 값; } // 함수 표현식 const 함수명 = function(매개변수1, 매개변수2 .. ){ ... return 값; } 웹 브라우저에서 자바 스크립트 소스를 해석할 때에는 함수 선언 부분을 가장 먼저 하기 때문에 함수를 선언만 해놓으면 선언한 위치에 상관없이 함수 호출이 가능하다. addNember(); function ad..
-
JavaScript 조건문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7. 07:14
조건문은 프로그래밍 진행중에 특정 조건과 명령에 따라 실행 순서을 결정한다. 자바 스크립트도 자바와 같이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조건문을 가지고 있다. if if 문은 괄호 안에 조건을 넣어 결과값이 참이면 if문을 실행하고 false면 if문을 실행하지않고 통과한다. else if 문은 처음 if문의 조건식에서 false가 나올 경우 else if의 조건식을 체크하여 true면 else if문을 실행하게된다. else if의 조건식도 false가 나올 경우 else문을 실행한다. const age = Number(prompt('나이를 입력하세요')); // 15 입력 if(age>19){ console.log('성인입니다'); }else if(age>14){ console.log('청소년입니다') }els..
-
JavaScript 타입변환과 연산자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6. 11:20
자바스크립트의 타입은 유연한 성격을 지니고 있어 타입이 고정되있지 않고 변수에 다른 타입의 값을 대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입 변환은 자동 타입 변환(암시적)과 강제 타입 변환(명시적)으로 나뉜다.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타입의 값을 기대하는 곳에 다른 타입의 값이 오면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한다. const a = "20"; // 문자열형 const b = "10"; // 문자열형 let result = a + b; // 2010, 문자열 연결 let result2 = a - b; // 10 let result3 = a * b; // 200 let result4 = a / b; // 2 const c = "자바스크립트"; let result5 = c - a; // NaN : 숫자로 변환할 수 ..
-
JavaScript 데이터 타입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5. 10:48
숫자형(number)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정수와 실수를 따로 구분하지않고 모든 수를 실수 하나로만 표현한다. typeof()는 타입을 반환해주는 함수로 타입 확인간 사용한다. 문자열형(string)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의 집합으로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상관하지 않는다. 불리언형(boolean) 참 또는 거짓으로 표현되는 값이다. undefined, null 형 undefined은 자료형이 정의되지 않았을 때, 데이터 상태(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았은 상태)를 의미한다. null은 변수에 할당된 값이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객체형 여러 속성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타입으로 키와 값의 구조로 저장한다. 심볼형 심볼형은 유일하고 변경 불가능한 기본값을 만들어 객체 속성의 key값으로..
-
JavaScript 변수, 상수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5. 10:40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담을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를 사용하기위해서 변수에 이름을 붙여 주어야하는데, 이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한다. 자바 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지켜야 할 몇가지 규칙이 있다. 변수 선언의 규칙을 알아보자. 변수 이름은 영문자와 언더바(_), 숫자를 사용한다. 단 변수 이름 첫 글자는 영어 대소문자나 언더바(_)만을 사용할 수 있고 숫자, 기호 띄어쓰기는 허용하지 않는다.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쓸 수 없다. var, let, const, while .. 등 예약어는 불가능하다. 여러 단어로 연결된 변수 이름의 경우, 중간 글자 어미를 대문자로 적는다. 예로 currentYear, CurrentYear, current_Year, Curr..
-
JavaScript 대화상자프로그래밍/JavaScript 2022. 9. 24. 06:30
alert() 웹 브라우저에서 작은 알림창을 열어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여주고 확인을 기다리는 방법이다. alert('안녕하세요?'); confirm() 알림창은 단순히 메시지를 보여주는 기능만 하지만 확인차은 사용자가 확인이나 취소 버튼 중에서 직접 클릭할 수 있다. 확인을 누를 경우 true, 취소를 누를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confirm('확인 또는 취소를 눌러주세요.'); prompt() 프롬프트 창은 텍스프 필드를 포함하고 있는 창이다. 텍스트 필드 안에 간단한 메시지를 입력후 결과를 반환한다. prompt('이름을 입력하세요'); console.log(`당신의 이름은 ${name} 입니다.`); console.log(`name의 타입 : ${typeof name}`);